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참고] 가상자산시장 시세조종 혐의자 검찰 고발 조치
2025-04-17 조회수 : 18419
담당부서가상자산과 담당자윤우근 서기관 연락처02-2100-1651
담당부서가상자산과 담당자김치중 사무관 연락처02-2100-1670

가상자산시장 시세조종 혐의자 검찰 고발 조치

 

 󰋼금융당국은 ‘25.4.16일 금융위원회 의결을 거쳐, 가상자산시장 시세조종 혐의자들을 검찰에 고발

 

 󰋼이용자들은 단기 이상급등 종목 등 거래 시, 거래유의·주의 종목 지정 여부 확인각별한 주의 요망


  금융당국(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25.4.16일 금융위원회 의결을 거쳐, 가상자산시장 시세조종 혐의자들을 검찰에 고발하였습니다. 고발된 혐의자들은 24시간 거래, 동일 가상자산 복수 거래소 상장 등 가상자산시장의 특성을 이용해 특정 가상자산의 시세를 조종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시세조종 유형


  혐의자들은 크게 2가지 유형의 시세조종 수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첫 번째 유형은 소위 “△△시 경주마*”로 일컬어지는 수법입니다. 혐의자는 특정 거래소에서 가상자산의 가격 변동률이 일괄적으로 초기화되는 시점(△△시 정각)을 전후로 물량을 대량 선매집하여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도하였습니다. 이어, 혐의자는 짧은 시간(20∼30분내외) 동안 시세조종 주문을 집중·반복(초당1∼2회)함으로써 매수세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외관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일부 가상자산의 시세를 조종하였습니다.


* 1일 가격변동률 등이 초기화되는 시점인 △△시(00:00, 09:00, 11:00 등 거래소별 상이)부터 다수 가상자산의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는 모습이 경주마를 연상시킨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두 번째 유형은 소위 “가두리 펌핑*”으로 일컬어지는 수법입니다. 거래소의 거래유의종목 지정 등으로 특정 가상자산의 입출금이 중단되어 차익거래가 일시적으로 불가능해지면, 유통량이 부족한 중소형 종목경우 인위적인 시세조종(가두리펌핑)이 용이해집니다. 혐의자는 이를 이용해 거래유의종목을 사전에 매집한 후, 수 시간 동안 시세조종 주문을 제출하여 손쉽게 해당 가상자산 가격·거래량을 급등시켜 매수세를 유인하는 방식으로 시세를 조종하였습니다.


*특정 가상자산거래소에서 가상자산 입출금이 차단된 상태(속칭 “가두리 상태”)에서 해당 거래소에서만 시세가 급등하는 현상을 지칭


< “△△시 경주마시세조종 >

 

세 개의 표로 구성된 이미지입니다.첫 번째 표(매수 전 시점, Δ0:00:05)에서는 B코인이 16위(전일대비 0.00%)로 하위권에 있습니다. 두 번째 표(대량 선매수 이후, Δ0:00:09)에서는 B코인이 1위(전일대비 5.09%)로 급상승하여 15계단 상승했음을 보여줍니다. 세 번째 표(매도종료 시점, Δ0:13:51)에서는 B코인이 1위(전일대비 8.39%)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각 표에는 순위, 종목, 전일대비(%)가 표시되어 있고, B코인의 순위 변동(16위 → 1위, 이후 1위 유지)이 강조되어 있습니다.

 

< “가두리 펌핑시세조종 >

 

가상자산 거래소 A를 중심으로 여러 사용자가 거래하는 모습이 원 안에 그려져 있습니다. 거래소 A의 왼쪽에는 가상자산 거래소 B가, 오른쪽에는 가상자산 거래소 C가 위치해 있습니다. 거래소 B에서는 외부 입금이 중단되었고, 거래소 C에서는 외부 출금이 중단된 상태임을 각각 ‘X’ 표시와 함께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거래소 A 내부에서 가격이 급등락하는 상황과 외부 입출금이 제한된 모습을 시각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용자 유의사항


  시세조종 대상 가상자산의 가격은 가격급등 구간에서는 타 거래소보다 최대 10배 이상 급등하였으며, 시세조종이 끝나면 급락하여 시세조종 이전의 가격으로 돌아오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용자들은 합리적인 이유 없이 특정 시각에 가격이 급등하거나, 입출금 차단 등의 조치 기간 중 가격이 급등하는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니, 추종매매 등을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특정 거래소에서만 특정 가상자산의 가격이 급등락하는 경우, 해당 거래소에서 주의종목으로 지정·안내하고 있으니, 이용자는 주의종목 지정 여부 등을 면밀히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이상매매에 의한 시세조종은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라 1년 이상의 유기징역 또는 벌금(위반행위로얻은이익의3∼5배)에 처해질 수 있으며, 과징금(위반행위로얻은이익의2배)도 부과될 수 있으니 거래 시 각별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금융당국은 가상자산시장의 시세조종 징후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가상자산거래소의 이상거래 적출 운영기준을 고도화하여 거래소 주문 단계에서부터 불공정거래에 대한 시장감시를 철저히 수행하도록 감독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금융당국은 시세조종 등 불공정거래에 대한 엄정한 조사·조치로 시장질서 유지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첨부파일 (3)첨부파일 열림
250417(보도참고) 가상자산시장 시세조종 혐의자 검찰 고발 조치.pdf (297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250417(보도참고) 가상자산시장 시세조종 혐의자 검찰 고발 조치.hwp (463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250417(보도참고) 가상자산시장 시세조종 혐의자 검찰 고발 조치.hwpx (479 KB)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
OSZAR »